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128

[React] 카카오맵 vercel 배포시 cors 해결법(kakao map with vercel) 카카오맵을 사용하는 도중 다음과 같이 401에러가 발생하였다. 이유를 알아보니까 proxy에러도 뭐도 아닌 그냥 간단한 이슈였다...카카오 맵 api의 도메인을 그냥 localhost로만 해둬서 그런 것이였다. 사이트 도메인을 추가함으로써 정상적으로 돌아왔다. 아래의 링크에서 내 어플리케이션 들어가고, 플랫폼에서 web의 도메인을 수정하면 된다.https://developers.kakao.com/console/app  카카오계정 accounts.kakao.com 2024. 6. 11.
백준 1365 꼬인 전깃줄 C++ 간단한 해설?문제 양치기를 너무 많이해서 그런가 문제만 봐도 그냥 단순한 LIS임이 명백했다.(전깃줄 문제랑 비슷해보임)lower_bound를 통해 이분탐색으로 풀었다.답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using namespace std;int main(){ cin.tie(0); ios_base::sync_with_stdio(0); int n,a; cin>>n; deque v; cin>>a; v.push_back(a); int ans=0; for(int i=1;i>a; auto it=lower_bound(v.begin(),v.end(),a); if(it==v.end()){ v.pu.. 2024. 5. 29.
백준 1565 N포커 경우의 수 오랜만에 세니까 너무 재밌다.그냥 무난하게 풀이MOD연산할 때, -이면 오버플로우 주의답#include #include #include #define ll long long#define MOD 10007using namespace std;vector> c(53,vector(53,0));ll binominal(int n,int r){ if(r==0||r==n) return c[n][r]=1; ll& ret=c[n][r]; if(ret!=0) return ret; return ret=binominal(n-1,r-1)+binominal(n-1,r); }int main(){ cin.tie(0); ios_base::sync_with_stdio(0); int n; .. 2024. 5. 11.
백준 15824 너 봄에는 캡사이신이 맛있단다 C++ small은 쉽게 맞았는데, large는 상당히 헤매었다.smallO(N^2)로 단순히 문제를 풀었더니 50점이 나왔었다i 와 j 루프로, (i-j) * 2^x로 구하였더니 O(N^2)로 Large에서는 시간초과가 나왔다.#include #include #include #define ll long long#define MOD 1000000007LLusing namespace std;ll table[300001];ll makeTable(ll n){ ll& ret=table[n]; if(ret!=0) return ret; if(n==0) return ret=1; if(n&(1>n; vector v(n); for(int i=0;i>v[i]; } sort(v.begin.. 2024. 5. 9.
[React-Redux] 실제 프로젝트에 적용하고, thunk로 비동기 통신 구현 서론props drilling기본적으로 local state를 이용하는 useState나 기타 훅은, props를 다른 컴포넌트로 넘겨줄 수 있는데, 이때 props를 필요로 하지 않는 컴포넌트에서 props를 넘겨줘야 하거나 아니면 props를 너무 깊게(depth 관련) 전달하면 추적이 어려워진다.global state이에 따라서, 프로젝트에서 local state와 global state(App-Wide State)의 구분이 필요해지고, redux를 이용해야하는 상황이 발생하였다.global state를 구분하고, 그에 따라서,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 중 하나인 redux를 활용하게 되었다.https://github.com/ash9river/React-Learned/tree/main/section19.. 2024. 5. 8.
백준 16437 양 구출 작전 C++ 단순한 dfs문제인데 캐싱을 생각해야한다.트리 재귀(dp)라고는 하는데, 나는 별 생각 없이 잘풀었다. graph 벡터로 그래프를 만들어내었고, table 벡터로 캐싱을 하였다.답#include #include #include #include #define ll long longusing namespace std;vector> graph;vector> table;ll dfs(int src){ if(graph[src].size()==0){ return table[src].first; } ll tmp=0; for(int i=0;i0){ table[src].first+=tmp-table[src].second; } return table[src].firs.. 2024. 5. 2.